로드 팩터

content

해시 테이블에 저장한 데이터 개수 n을 버킷의 개수 k로 나눈 것(n/k)

로드 팩터가 높을수록 해시 테이블의 성능이 감소한다. 같은 버킷을 쓰는 데이터가 많아져 해시 테이블에서 탐색하는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별로 해시 테이블을 구현할때 로드 팩터의 임계치를 두고있으며, 임계치를 넘어설때 버킷의 수를 늘려 리해싱한다. (동적 배열의 메모리 재할당과 유사)

refs